콧물•코막힘의 코감기
노란 콧물을 흘리면 갈근차(칡차), 박하차가 좋다. 칡은 콧물이 누렇고, 입 냄새가 나고 코딱지가 잘 생기는 아이에게 특히 효과적이다. 칡차를 끓일 때는 먼저 칡(20g)에 납작하게 자른 생강 두세 쪽을 넣고 살짝 볶는다. 칡의 텁텁한 맛을 없애기 위해서다. 여기에 물(500mL)을 넣고 30~40분 정도 약한 불에 우린다. 꿀이나 흑설탕을 넣어 물처럼 수시로 먹게 한다. 칡차는 오래 두면 쉬므로 주의한다. 콧물이 투명하다면 민들레차나 신이(목련꽃봉오리)차를 권한다. 싱싱한 민들레꽃을 따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하루 정도 밖에서 말린다. 팬에 살짝 볶아 뜨거운 찻잔에 2~3개를 띄워 먹는다. 신이는 꽃이 피기 전 하얀 것을 쓴다. 민들레차와 같은 방식으로 만들고 두 차는 주로 아침에 마시게 한다. 호흡기에 진액을 보강해주는 대추에 가벼운 염증을 가라앉혀주는 감초를 넣은 대추감초차도 있다. 씻은 대추(60g)와 감초(8g)를 물(2.5L)에 넣어 약한 불로 30분간 끓인다. 1회에 80~100mL 정도를, 하루 2~3회 따뜻하게 먹인다. 코의 감기 기운을 밖으로 밀어내주는 총백소엽차도 좋다. 총백(파뿌리, 3개)은 흰 부분만 썰어내고, 소엽(차조기잎, 3g)과 함께 물(1L)에 넣어 5~10분간 중불로 끓인다. 1회60~80mL 정도를 하루 2~3회 먹인다.
열 감기와 몸살감기
미열 감기를 오래 앓고 있거나 양약을 한참 먹어도 감기가 떨어지지 않는다면 현삼차, 시호차가 좋다. '검은 인삼' 현삼은 고열이 난 후 진액이 손상돼 목과 폐가 건조해지고 갈증을 느낄 때 쓴다. 현삼(10g)과 물(500mL)을 넣고 중불에 10분 정도 달인다. 물이 3분의 1로 줄면 흑설탕이나 꿀을 넣어 마신다. 시호는 목이 부어 열이 오르내릴 때 복용하면 좋다. 특히 밤에 열이 나다가 낮이 되면 괜찮아지는 것을 반복하는 아이에게 특효다. 깨끗이 씻은 시호(5g)를 꿀물에 담가 적신다음 살짝 팬에 볶는다. 물(200mL)을 넣고 3~5분 정도 끓인다. 따로 꿀을 넣지 않아도 구수하고 달달하다. 현삼차와 시호차는 저녁에 먹인다. 춥고 떨리거나 열이 나며 여기저기 쑤시고 아프면 해열•소염 효능이 있는 인동(로니세라)과, 코 속 열기를 풀어주는 연교(자목련꽃봉오리)를 함께 달여 먹게 한다. 뜨거운 물(200mL)에 인동등(인동 줄기, 3g)과 연교(2g)를 넣고 5분간 우려낸다. 한 번에100~200mL를 하루 2~3회 음용한다.
목감기와 기침 감기
기침이 잘 떨어지지 않을 때는 당귀천궁차, 천문동귤피차가 도움이 된다. 당귀와 천궁(각 10g)을 물(500mL)에 넣어 중불에 10분 정도 달이면 숭늉처럼 구수하다. 저녁에 먹는 게 낫다. 기침이 오래됐으면 30분에서 1시간 정도 달여 진하게 한다. 천문동귤피차는 밤 기침을 가라 앉힌다. 천문(4g)과 귤피(귤껍질, 4g)에 물(300mL)을 넣고 20분 가량 끓인 뒤 흑설탕을 넣어 쓴맛을 없앤다. 박하차는 목 주위 열기를 풀어주고, 감기 기운을 밖으로 밀어내준다. 뜨거운 물(200mL)에 박하(4g)를 넣고 5~6분간 우려낸다. 생강차는 어떤 감기에도 두루 작용한다. 감기에 걸려 음식도 잘 못 먹고 목에서 '그릉그릉' 소리가 나는 아이들에게 특히 좋다. 껍질을 벗기지 않은 편강(편으로 자른 생강)을 설탕에 담가뒀다 1~2개월 뒤에 따뜻한 물에 타 먹인다.
'알아야 할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3월 28일 오후 01:25 (0) | 2013.03.28 |
---|---|
[스크랩] 24절기는 음력과 양력이 겸해서 있다. (0) | 2013.01.05 |
2012년 12월 12일 술집서 과학콘서트 여는 석학들 (0) | 2012.12.12 |
2012년 12월 5일 오후 01:24 (0) | 2012.12.05 |
유대인을 바로알면 세계의 미래가 보인다. 2012년 11월 23일 오전 03:17 (0) | 201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