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발라란 뜻은?
유대교
유대인 • 유대교 • 종파
정통파 • 보수파 • 개혁파
하레디파 • 하시디파 • 현대 전통파
재건파 • 갱신 운동 • 랍비 유대교
카라이테 • 사마리아주의
유대교 철학
유대교 교리 • 미냔 • 카발라
노아의 율법 • 신 • 종말론 • 메시아
선민사상 • 홀로코스트 • 할라카 • 카쉬룻
체다카 • 윤리학 • 무사르
종교 경전
토라 • 타나크 • 탈무드 •
미드라슈 • 토세프타
랍비 문학 • 쿠자리 • 미슈네 토라
투르 • 술한 아루크 • 미슈나 베루라
추마시 • 시두르 • 피유트 • 조하르 • 타냐
성지
예루살렘 • 제파트(사파드) •
헤브론 • 티베리아스
성경 중요 인물
아브라함 • 이사악 • 야곱
사라 • 레베카 • 라헬 • 레아
모세 • 여호수아 • 드보라 • 판관들 • 사무엘 • 룻 • 다윗 • 솔로몬 • 엘리야 • 예언자들
비성경 중요 인물
힐렐 • 샴마이 • 유다 하 나시
사디아 가온 • 라시 • 이삭 알파시
이븐 에즈라 • 토사피스트
마이모니데스 • 람반 • 게르솜
요세프 알보 • 요세프 카로 • 아셰르 벤 예히엘
바알 솀 토프 • 슈네우르 잘만 • 빌나 가온
춘츠 • 이스라엘 야곱슨 • 가이거
오바디아 요세프 • 모셰 파인슈타인
엘라자르 샤흐 • 루바비커 랍비
규율
랍비 • 레베 • 하잔
코헨 • 마쉬기악 • 가바이 • 마가딤
모헬 • 베트 딘 • 로시 예시바
종교 건축
시나고그 • 미크바 • 성전 • 성막
종교 물품
탈리트 • 테필린 • 야물커 • 세페르 토라
지지트 • 메이즈자 • 메노라 • 쇼퍼
네 가지 식물 • 키텔 • 가르텔 • 야드
기도와 축복
유대교 의식 • 셰마 • 아미다 • 알레이누
콜 니드레 • 카디시 • 할렐 • 마 토브 • 하브달라
유대교와 다른 종교
기독교 • 이슬람 • 가톨릭
아브라함 신앙 • 유대 이교주의
몰몬교 • 유대-기독교
관련 항목
유대교 비판
반유대주의 • 친유대주의 • 예시바 • 유대교의 역사
v • d • e • h
카발라(히브리어: קַבָּלָה, Kabbalah[1])는 유대 신비교의(또는 유대교 신비주의)를 말한다. 히브리어 '키벨'에서 온 말로, '전례된 지혜와 믿음[≒전통]'을 가리킨다.[2], 세계의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는 신비주의 전통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카발라는 신비주의의 양식을 그대로 따르며, 여타 신비주의와 마찬가지로 특정한 카발라 교의의 독선주의 또한 배제된다.
많은 정통 유대인은 카발라를 토라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보고 있으며, 토라에 내재되어 있는 깊은 의미를 연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토라의 연구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 단계로 나눈다.
페샤트(Peshat): 표면적인 의미
레메즈(Remez): 비유나 은유적인 의미
데라쉬(Derash): 랍비 또는 미드라슈적으로 재해석함
소드(Sod): 토라가 담고 있는 비밀의 신비적인 해석
토라의 내재적인 비밀을 연구하는 것(소드)를 카발라라고 한다.
카발라의 중심이 되는 책으로, 오래된 것은 바히르(Bahir), 헤이카롯(Heichalot) 등(1세기 저작이라고 믿어진다)이 있으며, 나중에는 13세기경의 조하르(Zohar)가 있다.
카발라는 말 그대로 신비주의, 내재적이기 때문에, 백과사전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완전하고 정확한 설명이 없다. 그러나 게르솜 숄렘, 아서 그린, 다니엘 마트, 모셰 이델과 같은 많은 학자들은 카발라 문서들을 명확하게 했다. 게르솜 숄렘, 마틴 부버와 같은 학자들은 하시드 유대교가 카발라를 대중화한 것이라고 보았다.
목차 [숨기기]
1 역사
2 메르카바
3 아인 소프
4 세피롯
4.1 세피라
5 크리스천 카발라
6 외부 연결
7 주석
[편집] 역사카발라는 오랜 유대교의 역사와 그 근간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지만, 대체로 예수 사후 100년 이상이 지난 가운데 구약이 완성되고 나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쪽에 초점을 둔다. 지역적으로는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크게 전개되었으며, 이후 이슬람, 힌두교와 접촉•교류 등으로 다양한 모습을 드러내었다.
[편집] 메르카바메르카바(Merkabah →신의 전차)이며, 이것은 천상으로의 상승 또는 하강을 바탕으로 신의 전차에 다가가는 것을 말하는데, 천상의 경우 유대의 세계관인 7개의 하늘을 넘어 천상의 궁전으로 도약하는 것이다. (행위자체만 놓고 본다면 이것은 새가 되어 천상으로 상승한다는 샤먼들의 탈혼술과 유사한 것이다.) 이때 필요한 것이 유대 제사장들이 착용하는 우림과 둠밈(Urim veTumim)으로 술자를 보호한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하강은 실제 지하로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술자 자신의 안(깊은 내면)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관련 저작 : 랍비 아키바의 《메세 메르카바》(Maaseh Merkava →전차의 길)
카발라 형성 과정 중 가장 초창기 단계라고 여겨진다.
[편집] 아인 소프 이 부분의 본문은 아인 소프, 모나드입니다.
아인 소프(히브리어: אין סוף, Ain Sof[3] →무한(無限), 끝 없음, 신)은 앞서 말한 비존재(또는 음존재; 비근거 등)에 대한 카발라적인 대상이다. 신을 아인 소프이라 부른 이는 12세기의 맹인 랍비 이삭이라 한다.
[편집] 세피롯
세피롯(생명나무) 이 부분의 본문은 세피롯입니다.
세피롯(Sefirot) 또는 세피로트는 수 또는 철자를 의미하며, 세페르 예치라(Sefer Jetzirah)라는 카발라 문헌에 연유한다.
아인 소프가 감춰진 신의 무한함을 말한다면, 세피롯은 세상에 드러난(개시된) 신을 가리킨다. 세피롯은 근원(아인 소프)으로부터 뻗어나온 나무와 같은 모습(생명나무)을 형성하며, 각 갈래의 가지들은 신이 보이는 힘의 반영 또는 근력을 나타낸다.
세피롯의 힘의 반영은 신과 피조물 사이의 어떤 매개가 아니라 신 자신 안에서 벌어지는 사건으로 여겨지며, 때문에 양극의 대대들은 신성한 결혼에 의하여 서로간에 합일하는 것으로 본다.
비록 세피롯이 2차원적인 평면으로 그려지지만, 실제는 상이한 단계의 열 가지의 다차원과 그들의 관계를 그린 것이다. 이들은 흔히 아래로 늘어지는 생명 나무 형태로 묘사 되지만, 종종 포함되며 겹쳐지는 원으로도 표현된다.
[편집] 세피라세피롯은 열 개의 상이한 빛(또는 투명한 그릇)으로 구성되었는데, 각각의 빛을 세피라(세피롯은 세피라의 복수형)라고 한다. 그것들은 각각 케테르(Keter→왕관), 호크마(Hochma→지혜), 비나(Binah), 헤세드(Chesed→자비), 게부라(Gevura→힘), 티페렛(Tiferet→아름다움)ㅊㄷㅊ, 호드(Hod{{해석|위엄), 네차크(Netzach→영원), 예소드(Jesod→기초), 말쿳(Malchut→왕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페르 예치라(Sefer Jetzirah) →창조의 서
세페르 조하르(Sefer Zohar) →광휘의 서
[편집] 크리스천 카발라유대 카발라의 연장에 있으며, 카발라에 관심을 표한 그리스도인들에 의하여 전개된 카발라를 말한다.
[편집] 외부 연결(한국어) 브네이 바루흐(Bnei Baruch) 카발라 교육 연구원
(영어) 카발라 사전
[편집] 주석1.↑ 다른 철자: Cabala, Cabalah, Cabbala, Cabbalah, Kabala, Kabalah, Kabbala, Qabala, Qabalah, Kaballah 또는 Kabballa.
2.↑ 여기서 전통은 어디까지나 비전되는 비교적인 전통을 말한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2월 28일 오전 07:12 (0) | 2012.02.28 |
---|---|
도저히 멈출 수가 없다 . 2012년 2월 28일 오전 07:10 (0) | 2012.02.28 |
2012년 2월 28일 오전 06:29 (0) | 2012.02.28 |
프리메이슨이란? 2012년 2월 28일 오전 06:23 (0) | 2012.02.28 |
2011년 8월 28일 오전 02:13 (0) | 2011.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