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의문제

2013년 5월 30일 오전 06:03

tiger471 2013. 5. 30. 06:08

아마도 < 그것이 알고 싶다 > '사모님의 이상한 외출'이 방영되기 전까지만 해도 11년 전 발생했던 '여대생 공기총 청부 살해 사건'은 신문지면의 한 귀퉁이로 사라져버릴 뉴스였을 지도 모르겠다. 그러니 피해자의 아버지가 그간 가슴에 묻어 둔 상처가 얼마나 컸을 지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청부살해를 시키고도 법망을 피해나가다가 결국 무기징역 판결까지 받고 수감되었지만 이해할 수 없는 진단서를 근거로 호화 병실에서 제 마음대로 살아가는 모 기업 사모님을 목도한 시청자들은 모두가 그 피해자 아버지의 애끓는 분노를 잠시나마 똑같이 느꼈을 테니 말이다.



'무전유죄, 유전무죄'라는 말은 이제는 상투어가 되어버린 느낌이다. 대기업 회장들이나 전직 정치인들이 범죄를 저지르고 교도소에 들어가고도 제대로 형을 치르기는커녕 갖은 병을 내세워 자유롭게 되는 현실, 억울하면 돈 벌라는 속물적인 이야기가 실제 현실이 되는 사회, 돈과 권력 앞에서 윤리도 도덕도 땅에 떨어지고 정의도 찾아보기 힘든 세상, 게다가 돈과 권력을 가진 이들은 저희들끼리 네트워크를 만들어 법망조차 비웃는 그 참담함을 우리는 이상한 외출을 하시는 사모님을 통해 볼 수 있었던 것이다.

'사모님의 이상한 외출'은 바로 그 정의가 실종된 우리 사회의 이면을 고스란히 보여주었다. 자신의 잘못된 오해를 증명하고자 돈으로 사람들을 고용해 한 개인의 사생활을 무참히 짓밟은 것도 모자라 청부살해를 지시할 수 있는 사회가 제대로 된 사회일까. 무기징역을 받아도 적당히 진단서를 만들어 교도소를 빠져나올 수 있고, 호화 병실에서 생활하며 필요하면 마음껏 외출도 가능한 법 집행이 과연 정상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 무엇보다 딸을 잃었다는 고통에 피해자 가족들이 지옥을 경험하고 있을 때, 정작 가해자는 호화판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나라가 제대로 된 나라일까.


< 그것이 알고 싶다 > 가 방영된 후 그 후폭풍이 줄어들지 않고 점점 커져만 가는 것은 잘못된 법 정의의 문제 때문만은 아니다. 거기에는 가진 것 없는 이들은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하고 가진 자들에게 심지어 죽임을 당해도 제대로 항변조차 못하는 '을의 정서'가 들어가 있다. 라면 상무와 빵 회장, 조폭 우유 등 올해 상반기에 불어 닥친 갑을 정서는 이제 사모님 후폭풍으로 정의의 문제로까지 넓혀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문제의 후폭풍이 더 큰 이유는 그것이 생활과 생계의 문제를 넘어서는, 한 개인의 생명과 직결된 사법정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사실 의사와 검사와 판사와 재벌가의 커넥션에 대한 이야기는 우리에게 그다지 낯선 것은 아니다. 이미 숱한 영화들이 다루었던 소재가 아닌가. 하지만 < 그것이 알고 싶다 > 는 이것이 단지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 우리네 현실이라는 점에서 크나큰 충격을 준다. 많은 이들이 < 도가니 > 처럼 이번 사건도 영화화하자고 제안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법 정의가 해결하지 못한 사건도 때로는 대중들이 거기에 관심을 갖고 의견을 하나로 모음으로써 해결됐던 사례가 < 도가니 > 이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법 정의의 문제를 영화 같은 대중문화에 기대게 되었단 말인가. 답답하고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 그것이 알고 싶다 > 는 그래서 제목이 지칭하는 대로 시사고발 프로그램으로서 제 역할을 해낸 것으로 보인다. 사실 언론이 해야 될 일이 바로 대중들이 제대로 알아야 할 것을 알려주는 일이 아닌가. 그런 점에서 이번 '사모님의 이상한 외출'편이 건드린 대중의 공분은 여러 모로 의미가 있다 여겨진다. 이것은 이미 현실의 변화를 촉발시키고 있지 않은가. 여러모로 대중의 시대가 보여주는 변화다. 돈과 권력으로 덮어질 수 있었던 것들도, 이제는 결국 대중들의 시선에 포착되는 순간 낱낱이 실체를 드러내게 되고 그것이 현실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으니 말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대중의 공분이 그저 이 이상한 외출을 해온 사모님에게만 집중되고 그 하나의 문제로 덮어지지 않는 것일 게다. 결국 < 그것이 알고 싶다 > 가 거론하고 싶었던 것은 한 사모님의 빗나간 행적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현재 갖고 있는 부조리한 법 집행의 문제 전반일 테니 말이다. < 그것이 알고 싶다 > 가 촉발시킨 공분은 그래서 사모님이 은근슬쩍 다시 교도소로 들어가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 같지 않다. 거기에 관계된 모든 이들에 대한 상식적인 조처가 이뤄져야 할 것이고, 앞으로 이런 일이 재발되지 않기 위한 노력 또한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도대체 돈 있는자들의 횡포는 어디까지 가는것입니까?

사법 기관과 세브란스 대학병원이 짜고친 고스톱 이런것을 밝혀낸 언론에

찬사를 보냅니다.

하지만 이런 사건은 시간이 흐르면 다시 유야무야로 잊혀져 버리고

돈 있는자 "갑"들은 뒤돌아 서면서 웃음을 날릴것입니다.

니들이 암만 떠들어도 칼자루는 내가 쥐고 있으니까 하면서 말입니다.

해외로 비자금을 빼돌리는 재벌들...

몇 천억이 돈이라고 생각지 않는 인간들...


이런 부정 부패가 없어질 날은 올것인가?

이렇게 어지러운 도덕성은 회복 될 수 있을까?

돈 없고 힘없는 민초들이 살기에는 너무나 힘든곳입니다.

사법권이 이렇게 썩은 상황에서 머리통 싸매고 판검사 되려는 법대생들이 불쌍합니다.

결국은 썩은 냄새로 코를 돌릴 수 밖에 없는 구렁으로 들어가는것이니까요.

 

우리나라 법조계는 X냄새를 아주 좋아하는 인간들이 넘쳐나고 있는것 같습니다.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 사람, 이나라를 구할 수 있는 참된 지도자가 있을까?

 

세브란스 대학병원 애서 호화 생활을 한 장본인은  영남 제분 회장 전 부인었던 윤 모씨라고 한다.

 

과연 한두사람의 장난으로 수년간 40여회의 입퇴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까?



추가 진단서 관련기사

http://media.daum.net/issue/488/newsview?issueId=488&newsid=20130529080806774



청부 살인 사건 전모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9384

'우리 사회의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7월 12일 오전 11:20  (0) 2013.07.12
2013년 6월 27일 오후 02:00  (0) 2013.06.27
2013년 5월 30일 오전 05:59  (0) 2013.05.30
2013년 5월 23일 오전 11:46  (0) 2013.05.23
2013년 5월 12일 오전 05:55  (0) 2013.05.12